IT 194

NAS(Network Attached Storage)

NAS는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라는 뜻입니다. NAS는 개별적으로 IP 주소를 가지고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의 파일 서버로, 사용자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저장하는데 사용됩니다. HDD NAS와 SSD NAS의 주요 차이점은 저장 장치에 있습니다. HDD NAS는 물리적인 디스크인 하드드라이브를 사용하며, 용량이 크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동작 소음이 있을 수 있고, 기계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에 의한 피로에 취약합니다. SSD NAS는 반도체 기반의 저장장치인 SSD를 사용하며,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르고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소음이 없..

IT/Cloud 2023.12.21

IOPS(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IOPS는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입출력 연산의 횟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컴퓨터나 저장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RAID 구성, SAN 또는 NAS와 같은 스토리지 서브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IOPS 값이 높을수록 시스템이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일반적으로 IOPS가 높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선호됩니다. 하지만 실제 애플리케이션 성능은 IOPS 외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IOPS만을 기준으로 성능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IT/Cloud 2023.12.21

HDD(Hard Disk Drive) & SSD(Solid State Drive)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는 컴퓨터의 주 저장장치로 사용되며, 둘 다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지만 기술적인 구조와 성능에서 몇 가지 주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저장 방식: HDD는 회전하는 디스크인 플래터에 자기력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반면, SSD는 플래시 메모리라는 전자식 기억체를 사용하며, 이는 전력 없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반도체 기반의 저장 방식입니다. 2. 속도: SSD는 HDD보다 데이터의 읽기/쓰기 속도가 월등히 빠릅니다. 이는 SSD가 물리적인 플래터를 회전시켜 데이터를 찾는 HDD와 달리, 전기 신호를 이용해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접근하기 때문입니다. 3...

IT/Cloud 2023.12.21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는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블록' 단위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각 블록에는 고유한 주소가 있지만, 그 자체로는 메타데이터나 데이터 구조(파일 시스템 등) 정보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블록 스토리지는 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하며, 파일 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체계적인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려면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블록 스토리지는 주로 SAN(Storage Area Network) 환경에서 쓰이며, 높은 성능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가상 머신 디스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등에 많이 활용됩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EBS (Elastic Block Store) 같은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으..

IT/Cloud 2023.12.21

WAF는 VM 형태로 구성되며 Subnet에 생성

'WAF는 VM 형태로 구성되며 Subnet에 생성'이란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eb Application Firewall, WAF)이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 형태로 만들어지며, 위에서 설명한 서브넷(Subnet) 내에서 생성된다는 의미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은 일반적인 방화벽과 달리, 특정 웹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그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보안 정책을 적용하여 보호하는 방화벽입니다.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은 실제 하드웨어와는 독립된 소프트웨어 기반의 가상 컴퓨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WAF가 VM 형태로 구성되며 서브넷에 생성된다는 것은, 해당 WAF가 가상 환경에서 동작하며 특정 서브넷 내부에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역할을 ..

IT/Cloud 2023.12.21

공인 IP, 사설 IP, 고정 IP, 변동 IP

공인 IP (Public IP): 인터넷에 연결된 각 기기가 고유하게 가지는 IP 주소입니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며,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장치들이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IP 주소는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할당받습니다. 사설 IP (Private IP): 내부 네트워크 (예: 집, 학교, 기업 등)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사설 IP 주소는 인터넷 전체에서는 유일하지 않고, 특정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일하며, 인터넷으로 직접 연결될 수 없습니다.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가 사설 IP주소를 할당해줍니다. 고정 IP (Static IP): 한번 할당되면 변경되지 않는 IP 주소입니다.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 등,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변동..

IT/Cloud 2023.12.21

LB는 각 Subnet에서 생성 가능

'LB는 각 Subnet에서 생성 가능'이라는 말은 로드 밸런서(LB)가 각각의 서브넷(subnet)에서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서브넷(subnet)은 IP 네트워크 주소를 두 개 이상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눈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LB)는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이를 여러 서버가 분산 처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로드 밸런서를 각 서브넷에서 생성하면 특정 서브넷에서 발생하는 트래픽만을 처리하는 LB를 구축할 수 있어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가 가능합니다.

IT/Cloud 2023.12.21

VDOM (Virtual Domain)

VDOM이란 가상 도메인이라는 의미로, 물리적인 하나의 방화벽을 여러 개의 독립적인 가상 방화벽으로 분리하여 운영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Fortinet 등 일부 네트워크 보안 장비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각각의 VDOM은 독립된 보안 정책, NAT, VPN 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영업부와 인사부, 그리고 개발부라는 세 개의 부서가 각각 독립된 네트워크 환경을 원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럴 때 VDOM을 활용하면 하나의 방화벽에서 세 부서의 네트워크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즉, 영업부 VDOM, 인사부 VDOM, 개발부 VDOM을 생성하고 각각에 알맞은 보안 정책을 적용하면, 각 부서는 마치 자신들만의 독립된 방화벽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운영할 수 ..

IT/Cloud 2023.12.21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는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의 약자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컴퓨터 전화 통합'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기술은 컴퓨터와 전화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CTI의 기능: CTI의 주요 기능은 컴퓨터에서 전화 걸기/받기, 콜 로깅(call logging), 자동 다이얼링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또한 고객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져와 화면에 표시하는 스크린 팝(screen pop)과 같은 고급 기능도 제공합니다. 고객 서비스 향상: CTI를 사용하면 고객 서비스 센터 직원들이 고객과 통화하면서 동시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직원들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상호작용 증진: CTI는 전화 시스템과..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은 Interactive Voice Response의 약자로, 한국어로 번역하면 '대화형 음성 응답'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시스템은 전화를 받아 사전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거나 사용자 입력(보통 키패드 입력)에 따라 호출을 라우팅하는 기술입니다. IVR의 기능: IVR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전화 호출을 적절한 대상으로 라우팅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전에 녹음된 메뉴 옵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가능합니다. 자동응답: IVR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원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질문을 하며,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사용자가 전화 키패드를 눌러서 제공합니다. 호출 라우팅: IVR 시스템이 수집한 정보는 해당 호출을 적절한 부서나 인원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