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슬롯(Time Slot)이란?
정의
- 타임슬롯(Time Slot)은 디지털 통신에서 시간 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사용자나 데이터 스트림에 할당된 일정한 시간 간격을 의미합니다.
- TDM은 여러 데이터 스트림(예: 음성, 데이터)을 하나의 물리적 회선에서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타임슬롯은 이러한 시간 단위의 최소 단위를 나타냅니다.
E1 회선에서의 타임슬롯
- E1 회선은 총 32개의 타임슬롯으로 구성되며, 각 타임슬롯은 64kbps의 대역폭을 가집니다.
- E1의 총 대역폭(2.048Mbps)은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타임슬롯 0: **동기화(Synchronization)**에 사용됩니다.
-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고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타임슬롯 16: **신호 제어(Signaling)**에 사용됩니다.
- 통화 연결 및 해제, 상태 정보 전달 등 제어 신호를 처리합니다.
- 타임슬롯 1~15 및 17~31: **음성 또는 데이터 전송(B채널)**에 사용됩니다.
- 실제 사용자 데이터(예: 음성 통화, 인터넷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타임슬롯 0: **동기화(Synchronization)**에 사용됩니다.
타임슬롯의 작동 방식
-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 TDM에서는 여러 사용자나 데이터 스트림이 하나의 물리적 회선을 공유합니다.
- 각 타임슬롯은 특정 사용자나 데이터 스트림에 주기적으로 할당됩니다.
- 예를 들어, E1 회선에서 30개의 타임슬롯(1~15, 17~31)은 각기 다른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순환 방식:
- 타임슬롯은 순환적으로 반복되며, 각 사용자나 데이터 스트림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예를 들어, 타임슬롯 1이 사용자 A에게 할당되면, A는 해당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후에는 다른 사용자가 차례대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고정 대역폭:
- 각 타임슬롯은 고정된 속도(64kbps)를 제공하며, 이는 음성 통화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타임슬롯의 활용 예시
- 음성 통화:
- E1 회선에서 각 타임슬롯은 하나의 음성 통화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1 회선은 최대 30개의 동시 통화를 지원합니다.
- 데이터 전송:
- 여러 타임슬롯을 묶어 더 높은 대역폭(예: 128kbps, 256kbps)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 혼합 서비스:
- 일부 타임슬롯은 음성 통화에, 나머지는 데이터 전송에 할당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요약
타임슬롯은 디지털 통신에서 데이터를 시간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최소 단위입니다. E1 회선에서는 총 32개의 타임슬롯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동기화와 제어 신호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나 데이터 스트림이 하나의 물리적 회선을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IT > 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TN과 E1 회선의 연관성 (0) | 2025.02.25 |
---|---|
PSTN과 VoIP의 기술 방식 (0) | 2025.02.25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0) | 2025.02.25 |
E1회선 (European 1) (0) | 2025.02.25 |
DID (Direct Inward Dialing) & DOD (Direct Outward Dialing)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