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잡이 발생할 때 Traffic Class필드(priority)의 데이터그램을 버립니다.
ARP를 이용하여 IP Address가 중복되어 사용되는지 찾을 수 있다.
ICMP의 Message Type필드
Echo reply (type : 0) : 에코 응답에 사용
Destination unreachable (Type : 3) : 라우터가 데이터를 라우팅 못하거나 호스트가 데이터 전송을 못할 때
Sourche quench (Type : 4) : 요청폭주가 발생한 상황을 송신 측에 알려줌
Redirect (Type : 5) : 송신측으로 부터 패킷을 수신받은 라우터가 특정 목적지로 가는 더 짧은 경로가 있음을 알려줄 때
Time Exceeded 에러 메세지 (Type : 11) :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TTL이 0에 이르렀을 때
Parameter Problem 에러메세지 (Type : 12) : checksum 에 의한 오류검출 결과 오류시 자료 재전송 요청
TCP 3-WAY HAND Shaking 과정
SYN -> SYN+ACK -> ACK
D Class - 멀티캐스트용
E Class - 연구용
Sink :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드
Actuator : 시스템/기계 를 제어하는 장치
RFID :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기술 (교통카드나, 도난방지 등)
Access Point : 무선랜과 유선랜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 (와이파이, 공유기 같은 놈)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미 이름부터 주파수의 ID가 있음 전파를 사용해서 쬐~끔 먼 곳에 있는 것도 식별해냄.
하드웨어 < 커널 ↔ 쉘 ↔ 유저. 쉽게 말해서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구성요소를 관리(입출력 관리 등)
쉘은 유저와 OS의 대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명령어 해석기 역할.
1.chage - 시험지 오타가 아니라 실제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2.chgrp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
3.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4.usermod -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
4. TTL 값이 짧으면 DNS의 부하가 늘어납니다
Linux
파일 권한은 알파벳 9자로 나타낼 수 있다 1~3자리는 파일 소유자, 4~6 자리는 소유자와 같은 그룹의 사용자, 7~9 자리는 일반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나타낸다. 알파벳은 r, w , x 만 오며 각각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어떤 파일의 권한이 rwxrwxrwx 라면 모든 사용자는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다는 뜻이고 rwxr-x--x는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전부 가능, 같은 그룹의 사용자는 읽기와 실행 가능, 모든 사용자는 실행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를 chmod 명령어를 통해 설정할 때에는 r=4 , w=2 , x=1 로 치환해 3자리의 숫자로 나타낸다.
777은 rwxrwxrwx와 같고 751은 rwxr-x--x 과 같다.
pwd(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작업 디렉토리 출력
ls(list) : 디렉토리 안의 내용 출력
rm(remove) : 디렉토리 / 파일 등을 삭제
->전부 root 외에도 사용가능
chown(change owner) : 소유권 변경에 관한 명령어이기 때문에 root 외의 디렉토리에서는 사용불가
top 명령어는 proc에서 일정 주기(기본 3초)로 합산해 cpu 사용율 출력
CPU만 보여주는게 아니라 전반적인 현재 OS의 상태도 보여줌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어떤 작업이 내 컴퓨터 자원을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알려준다.
파티션 형식: MBR, GPT
MBR: 주 파티션 4개까지 사용하나 용량은 최대 2TB까지
GPT: 주 파티션을 128개까지 사용하고 용량은 최대 9.4ZB까지 (여튼 겁나 큼)
결론: 그냥 GPT가 좋음. MBR 구닥다리
FAT 와 ext4는 파일 시스템이지 파티션관리가 아님
FAT: 드라이브 최대크기 4GB, 파일 한개 크기 2GB -> 요즘 시대에 겁나 안맞음
ext4: 용량이 크기는한데 ext4는 파일 시스템 관련이라 파티션 어쩌구 하는 여기에서는 맞지 않음
홉 카운트만을 기준으로 삼으며 최대 홉이 15를 넘지 못하는 프로토콜은 RIP이다.
흐름 제어 방식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stop and wait
2. Sliding Window
stop and wait는 패킷 하나 보내면 하나 받고, 하나 보내면 하나 받고.... 이런 식이라 굉장히 느리다
고로 TCP는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Sliding Window 방식을 사용한다. 어떤 식이냐면 은행의 대기 방식이라 생가갛면 된다.
은행에 수많은 창구(window)가 있고, 그 사람들이 동시에 끝날지, 따로 끝날지 모른다. 번호표를 가진 사람들은 패킷들이고, 번호표는 패킷 순서다.
stop and wait 는 창구가 하나라, 직원 한명이 다 처리하지만, sliding window 에서는 직원이 여럿이라 동시에 뭔가를 처리할 수 있다. 직원이 한명의 일을 처리해주면, 다음 번호표에 있는 사람이 그 창구로 들어간다. 이런 방식이다.
(물론 sliding window는 일렬로 있는 패킷을 보내기 위해 윈도우 자체를 옮기는 행위다.)
Go Back N 이나 선택적 재전송은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의 세부적인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Go Back N -> 전송이 실패한 패킷부터 시작해서 그 이후의 것을 한방에 같이 전송
선택적 재전송 -> 전송이 실패한 패킷만 추출하여 그 특정 패킷들만을 전송
FTP - 21번
- Source Port : 메시지를 보내는 측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Port 번호
- Destination Port : 목적지, 즉 메시지를 받는 측의 통신 Port 번호
- Total Length : 헤더와 데이터를 합한 사용자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를 정의합니다. UDP 데이터그램의 헤더인 8바이트부터 65507바이트 사이의 값이 됩니다.
- Checksum : 헤더와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 사용자 데이터그램 전체에 대해 오류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약어는 RARP 라고 하며 Diskless 시스템에서 부팅 또는 IP 주소 설정과 같은 특별한 요청이 있을때만 동작한다.
- PC 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ARP 와 패킷구조가 비슷하다.
- RARP 요청 패킷 : 브로드캐스트 사용
- RARP 응답 패킷 : 유니캐스트 사용
DNS는 기본적으로 UDP 53번에서 작동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TCP 53번을 사용한다.
IEEE 802는 근거리 통신망과 도시권 통신말을 관할하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표준 규칙들의 계열을 말한다.
종류
- IEEE 802.2 : 에러 보정하고 프레임 제작, 흐름 제어, 네트워크 계층에 서비스 제공
- IEEE 802.3 : 다양한 데이터 속도와 다양한 물리계층 지원하면서, CSMA/CD 방식 사용 *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IEEE 802.4 : 토큰버스 방식
- IEEE 802.5 : 토큰링 방식
- IEEE 802.11 : 무선랜, 와이파이라고 부르며 CSMA/CA 방식 사용
디지타이징 : 사인파 같은 연속 아날로그 신호를 일련의 이산 샘플(판독치)로 변환하는 방법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시 바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 언제 어디서든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컴퓨팅할 수 있는 것
세션계층의 기능
1. 동기화: 전송계층으로 전송할 순서와 전송할 때 수신자 확인이 필요한 곳을 결정한다.
2. 세션 연결의 설정과 종료: 세션연결의 설정과 종료 및 관리 절차를 정의
3. 대화제어: 누가 언제 보내는지 결정한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되는 대용량 저장장치
DAS(Directed Attached Storage) - PC의 외장하드와 비슷함.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외장형 스토라지
/etc 각종 환경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을 가진 디렉토리,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서비스 구성 설정 파일,사용자/그룹 정보 파일
/bin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있는 디렉토리
/var 시스템에 사용하는 가변적인 파일,스폴,로그
/dev 시스템의 각종 디바이스
NAS: 표준 이더넷을 통해 파일로 데이터에 엑세스하고, 파일 서버로 인식이됨, 비디오 같은 비 구조적 데이터에 사용
SAN: 파이버 채널 연결을 사용(빠름)하고, 블록 레벨에 데이터를 저장, SAN은 클라이언트에게 그냥 일반적인 디스크로 인식됨. 별도의 자체 스토리지 디바이스 네트워크로 존재하기 때문
그냥 재밌게 외우는법:
NAS: NA Sㅓ버로 인식할래. 비디오 NA 와 S.
SAN: 돈도 없으니 SAN 블록으로 파이버 채널 이용해야지...
FTP의 2가지 모드 FTP는 2가지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첫번째는 제어포트로 사용자가 파일서버에 접속하여 명령을 내리는 일련의 과정들(디렉토리 검색, 디렉토리 이동, 파일 다운로드/업로드 명령)등에
대한 연결에 사용되고, 두번째는 데이터포트로 다운/업로드 명령을 내리면 데이터가 전송될때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FTP는 2가지 모드가 있는데 Active, Passive 모드로 나뉩니다.
Active 모드는 21번 포트를 제어포트로 사용하며, 20번 포트를 데이터 포트로 사용합니다
Passive 모드는 21번 포트를 동일하게 제어포트로 사용하며, 랜덤포트를 데이터 포트로 사용합니다
'Certificate > 네트워크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1년 11월 14일 기출문제 (0) | 2023.05.21 |
---|---|
[기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2년 02월 27일 기출문제 (0) | 2023.05.21 |
[기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2년 08월 21일 기출문제 (0) | 2023.05.20 |
[기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2년 11월 06일 기출문제 (0) | 2023.05.20 |
[기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3년 02월 26일 기출문제 (0) | 2023.05.20 |